Choral Fantasy
Piano - Daniel Barenboim

Berlin Philharmoniker Orchestra

Conducted by
Daniel Barenboim

 

'음악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mon Tree - Brothers Four  (0) 2006.01.05
비발디의 사계중 봄 전악장  (0) 2006.01.04
Verdi 오페라 Nabucco...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0) 2006.01.02
베토벤 교향곡 No.3 `Eroica`  (0) 2006.01.01
그리스도의 수난  (0) 2005.11.28
 
Giuseppe Verdi(1813~1901)의 오페라 Nabucco...
Va Pensiero(히브리 노예들의 합창)-Cond. 정명훈
   

Va Pensiero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Giuseppe Verdi(1813~1901)의 오페라
Nabucco... Va Pensiero(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Cond / 정명훈
Rome Santa Cecilia Orch & Chorus


http://cafe.daum.net/niegroup http://cafe.daum.net/niegroup

히브리노예들의 합창


 작곡배경


베르디가 오페라 <나부코>를 작곡하기로 마음먹은 것은 순전히 스칼라극장의 지배인으로 있던

바르톨로메 메렐리의 집요한 설득덕분이었다. 당시 베르디는 1840년에 초연한 두 번째 오페라

<하루만의 임금님>의 완전한 실패로 실의에 빠져 있었다. 이 때 메렐리는 나부코 왕의 행적을

오페라 대본으로 만든 이탈리아 사람 솔레라의 작품을 들고 베르디에게 접근했다.

이 대본에 강렬한 애착을 느끼고 있던 메렐리는 처음에 오토 니콜라이(빈 필하모니의 창립자)에게

작곡을 의뢰했다가 거부당한 적이 있지만, 이에 포기하지 않고 다시 베르디를 찾았던 것이다.

내키지 않은 마음으로 오페라 대본을 받아든 베르디는 이 대본을 읽어본 후 의욕을 되찾아

작곡의 붓을 들었다. 그렇게 해서 1841년 말경에는 전곡을 완성하여 메렐리에게 넘겨줄 수 있었다.

베르디가 이 오페라에 푹 빠지게 된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첫째, 당시의 북이탈리아 사정이 오스트리아의 압제를 물리치고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전국민적인

애국운동으로 온통 술렁거리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민족의식과 자유의지에의 열망이 베르디의

오페라 정신을 지배하고 있던 중 <나부코>의 대본을 읽고 완전히 매혹 聆?버린 것이다.

이스라엘 민족의 고통과 환난, 그런 중에서도 민족의식과 신앙을 잃지 않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려는

그들의 강인한 결속력에 베르디 스스로 감동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재기를 다져야 하는 절대적인 위기상황 속에서 <나부코>를 만났다는

점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에는 메렐리의 끈질긴 설득과 권유가 큰 역할을 했지만 일단 작곡에

손을 댄 베르디는 완전히 몰입해 있었다.

방대한 스케일과 스펙터클한 무대규모를 마음껏 구사하면서 유대왕국의 멸망에 따른 나부코의

행적을 쫓는 그의 음악 정신은 뜨거운 불꽃을 피어 올리고 있었다. 뒷날 이탈리아의 시인 카루두치는

 '패기 넘치는 베르디, 오페라 예술의 첫 고동' 이라고 써서 이러한 그를 찬양하기도 했다.

완성된 오페라 <나부코>는 1842년 3월 9일 밀라노의 스칼라 극장에서 감격적인 초연이 이루어졌는데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후 무려 67회나 연속 상연될 정도로 오페라 팬들을 열광시켰는데,

특히 제 3막에서 부르는 '노예들의 합창'은 단번에 이탈리아 국민들을 사로잡아 버렸다. 그것은 당시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북이탈리아 국민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나아가 통일을 이룩하는

큰 힘의 원천이 되기도 했다. 1901년 베르디가 죽었을 때 토스카니니가 이 합창을 지휘하여

대 작곡가의 영전에 레퀴엠으로 올려준 것은 또다른 감동으로 남아 있다.

1842년 3월 9일 스칼라극장에서 <나부코>가 초연 되었을 때 여주인공 역을 노래한 소프라노 가수는

주세피나 스트레포니였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베르디와 가까워진 그녀는, 결국 베르디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

이래저래 <나부코>는 베르디의 인생과 예술에 끼친 영향력이 막중했는데, 이 발판이 도약대가 되어

베르디는 19세기 오페라 무대를 휘어잡은 위대한 거장으로 군림할 수 있었다.

스트레포니 역시 평생동안 베르디를 뒷바라지하며 아내로서의 역할에 충실했으니 <나부코>는

그녀에게 있어서도 결코 가벼이 넘기지 못할 작품일 것이다.]

베르디의 4막짜리 오페라 <나부코>는 각각의 장면에 맞는 부제가 있다.

('막'대신 '부'를 사용하여 1. 2. 3. 4 부로 나누어지기도 하나 여기서는 편의상 '막'으로 표기한다.)

제1막은 예루살렘 성전, 제2막은 배신, 제3막은 예언, 그리고 마지막 제4막은 '우상파괴' 라는

부제를 붙여 오페라의 아우트라인을 설명해 준다. 즉 제 1막에서만 예루살렘 전투 장면이 나오고

나머지 3장면은 모두 바빌론 궁전과 유프라케스 강변이 그 무대로 설정되어 있다.

등장인물

나부코 (바빌로니아 왕)
아비가일레 (나부코와 노예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브달로 (나부코의 충복)
이즈마엘레 (예루살렘 왕의 조카)
페네나 (나부코의 딸)
자칼리아 (유대인의 대제사장)
안나 (자칼리아의 언니)

줄거리

제1막

막이 오르면 '신포니아'라고 이름 붙여진 서곡이 연주되고 곧이어 예루살렘의 솔로몬 성전 모습이

장엄한 음악과 함께 소개된다. 여기에 나부코의 딸 페레나가 인질로 잡혀와 있음을 알리고,

곧이어 나부코의 바빌론 군대가 예루살렘 성전을 침공하여 대접전이 벌어진다.

결국 나부코는 예루살렘에 인질로 가있던 페네나를 구출하고 난 뒤에 성전에 불을 지르고 유대왕국의

마지막 숨통을 조인다. 유대나라의 제사장 자칼리아가 불타는 성전 속에서 의연한 모습으로 독전하는

장면과 함께 성도 예루살렘은 나부코 군대에게 여지없이 유린당하고 만다.

제2막

바빌론에 있는 나부코의 왕궁이다.

나부코와 노예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비가일레는 왕위 쟁탈을 둘러싸고 페네나와 신경전을 벌인다.

거만함과 폭정 때문에 신의 노여움을 받은 나부코가 정신 이상에 걸려 왕권을 지키기 어려운 틈을

타서 그의 딸 아비가일레가 아버지의 왕관을 쟁탈하여 억지로 왕좌에 앉는다.

제3막

제3막은 두 장면으로 나누어진다.

첫 장면은 바빌론 왕궁의 옥상 정원이다. 정신상태가 이상해진 나부코는 왕좌에 앉아 있는

아비가일레를 보고 놀란다. 아비가일레는 이에 개의치 않고 유대인들과 유대교로 개종한 페네나를

처형할 것을 명한다.

두 번째 장면은 유프라테스 강변이다. 노예로 잡혀온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면서 유명한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을 부른다. 간절하고 숙연한 마음으로 "가라 내 마음이여,

금빛 날개를 타고......" 라고 노래하는 합창에는 조국에 대한 열망이 절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탈리아 국민들이 열광했던 장면이다.

제4막

다시 나부코의 왕궁이다.

아비가일레는 나부코를 작은 방에 감금하여 놓고 노예들과 페네나를 형장으로 끌어낸다.

이 광경을 목격한 나부코는 자신도 모르게 "유대의 신이여 ! " 라고 외치면서 유대의 신을 모욕한

자신의 죄를 뉘우친다.

이 때 나부코는 다시 정신상태가 맑아 지는 듯 하지만 완전한 상태로 돌아오지는 않는다.

왕궁 옥상의 정원으로 장면이 바뀌어 사형장으로 끌려나와 처형당하기를 기다리는 노예들과

페네나가 보인다.

그러나 페네나의 마음은 평온하여 "하늘은 열렸도다." 라고 노래한다.

이 때 나부코와 그의 심복 아브달로가 병사들을 이끌고 사형장에 도착하여 사형을 중지시키고

바빌론의 우상을 파괴해 버린다.

그리고 "히브리 사람들이여 조국으로 돌아가 유대 신전을 다시 세우라" 고 말한다.

노예들은 나부코를 향하여 "위대한 야훼여" 라고 외친다.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 아비가일레는 스스로

독약을 마시고, 자칼리아는 나부코에게 "야훼를 받들어 모시는 당신이야말로 왕중의 왕이로소이다."

라고 하면서 무릎을 꿇는다.

노예들과 신하들은 다같이 나부코를 찬양하는 합창을 부르면서 오페라는 막이 내린다.


'음악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발디의 사계중 봄 전악장  (0) 2006.01.04
Beethoven - Choral Fantasy  (0) 2006.01.03
베토벤 교향곡 No.3 `Eroica`  (0) 2006.01.01
그리스도의 수난  (0) 2005.11.28
백조의 호수  (0) 2005.11.27
 





-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영웅'- 

자유의 정신에 불타 민중의 권리를 옹호한 인간 베토벤은, 
나폴레옹을 '이상(理想)의 영웅'이라 여겨, 때마침 만들어 둔 
「제3번 E f장조 교향곡」총보 속표지 상에 '보나파르트' 아래에 
'루트비히 반 베토벤'이라 적어 헌정할 작정이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가 되자 베토벤은 크게 실망하여 
총보의 속표지를 찢었으며, 그 뒤에 영웅의 추억을 기리기 위해 
「영웅 교향곡」이라고 적었다.
이 교향곡은 1804년에 와성. 이듬해 4월 7일에 공연되었고, 
곡은 폰 로보코비츠 후작에게 헌정되었다.
바그너는, 
이 네게의 악장을 활동ㆍ비극ㆍ정적의 경지ㆍ사랑이라고 하면서,
참된 베토벤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고 평했다.
*클래식명곡해설  중에서...
 
1.Allegro con brio..............18:09

2.Marche funebre(Adagio assai)..15:58

3.Scherzo(Allegro vivace).......05:54

4.Finale(Allegro molto).........11:47


London Symphony Orchostra_Eugen Jochum 

'음악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ethoven - Choral Fantasy  (0) 2006.01.03
Verdi 오페라 Nabucco...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0) 2006.01.02
그리스도의 수난  (0) 2005.11.28
백조의 호수  (0) 2005.11.27
Leo Sayer (리오 세이어 ) - More Than I Can Say  (0) 2005.11.12

 

(영상은 원작 멜깁슨,'그리스도의 수난 중)

 

클릭하면 음악이 나옵니다

 

 

 

등장인물

  • 복음사가 (테너) 복음서의 화자이고 전반적인 배경 설명과 해설을 담당한다.
  • 예수 (베이스) 주인공.
  • 제자들 (베이스) 베드로, 가룟 유다등의 독창이 나오나, 대개는 일인 다역으로 한다.
  • 제자들 (합창)
  • 아리아 (소프라노) 사건에 대한 감상이나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노래들이 있다. 

     

  • 독실한 루터파 신자였던 바하는 동시대의 헨델이나 하이든처럼 낙천적 종교관을 갖지 못하고

  • 늘 신을 두려워했고

  • 죽음이란 문제로 고민하였다 한다.

  • 그래서 인지 바하는 음악의 궁극적인 목적과 궁극적인 존재 이유는

    바로 신의 영광을 찬미하고 정신을 재창조하는 것이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

    바하가 44세 때 약 삼 년의 세월에 걸쳐 완성한

    마태 수난곡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말한

    "마태복음서"의 제26장, 제27장과

    작사가 피칸더가 쓴 대사 및 기타의 가사가 사용되었다


    전체는 2부 78곡으로 되어있고 오케스트라와 합창은 2부로 나뉘었으며

    에반갤리스트(복음사가)의 레치타티보(서창)에 의해 이야기가 진행된다.

    서양음악 최고의 걸작으로 일컬어지는 마태 수난곡은

    연주에만 3시간이 걸리는 대작이므로

    끝까지 다 들으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독창은 예수 그리스도가 베이스, 에반겔리스트(복음사가)가 테너,

    예수의 제자인 베드로가 베이스,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도록 명령하는

    총독 빌라도가 베이스, 빌라도의 아내가 소프라노이다.

    제1곡의 합창<오라, 딸들아 와서 나를 슬픔에서 구하라> 로부터

    제35곡의 합창 <오, 사람들아 그대들의 죄가 얼마나 큰가를 슬퍼하라>까지가

    제1부이며 예수의 수난에 대한 예고로부터 체포까지를 다루었다


    제2부는 제36곡의 영창과 합창 <아아, 나의 예수는 끌려가시고 말았네. 에서부터

    마지막 제78곡의 합창<눈물로서 엎드려>까지이며

    예수의 처형부터 매장까지를 다루고 있다.

    비극적인 감정을 차츰 돋우어 올리는 이곡은 각 부에 극적인 요소를 마련하고 있으며,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히는 제2부의 클라이맥스는

    영적으로 깊은 감동을 받을 것이다

    특히 유명한 제10곡의 알토의 영창<참회와 회한은 죄의 마음을 두 갈래로 찢어>와

    베드로가 예수 그리스도를 모른다고 대답한 뒤 닭이 우는 소리를 듣자

    예수 그리스도가 예언한 "내일 아침 닭이 울기 전에 너는 나를 모른다고 하리라 " 고

    한 말을 생각하면서 통곡하는<나의 ,하나님 눈물을 흘리며 기도하는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가 비탄의 극치이다.

    그리고 마지막 곡의 합창<눈물로서 엎드려>는 그 영적인 눈부심과 끝없이 깊은

    포용력으로 대하처럼 도도히 흘러 우리에게 다시없는 감동과 흥분을 선사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