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 책 냄새는 한층 눅진하고 꿉꿉하다.
오래 곰삭은 것들과 이제 삭기 시작한 것들이 어우러져 날 선 신경을 어루만지고
가라앉히는 냄새. 책장 넘기는 소리, 종이 위로 펜 지나가는 소리,
나지막한 인기척, 멀리 들려오는 경적 같은 온갖 소리가 빗소리에 자리를 내준다.


빗소리의 블랙홀에 빨려들어 분간하기 어렵다.
고개 돌려 창 밖을 보면 바깥세상을 점령한 하늘 물줄기가 유리창 너머
이쪽을 끊임없이 넘보고 있다. 부딪치고 치근대고, 끝내 적시지 못하고 꼬리를 끌며 거꾸러진다.
그래도 은밀히 품은 비린내는 기어이 사람들이 아는 통로와 모르는 통로로 흘러 들어와
책 냄새를 진하게 만든다.


가방 속에서 미지근해진 캔 커피가 유난히 감겨 들고, 기억 보관함 속에서
미약하나마 생기를 간직한 장면들을 책상 위로 술술 불러낼 만큼 진하다.
단지 기분 탓이라고 한구석 제습기가 심드렁히 말하는데도,
방심한 틈에 어느 페이지 어느 구절이 후두두 떨어져 내리며 파문을 남긴다.
파문 너머로 삼엽충과 암모나이트가 잠깐 비치다 사라진다.


고즈넉한 행간의 기묘함을 몇 번이고 엿보고 싶다.
언제까지나 빗소리와 함께 글자를, 종이와 마음을 오가는 글자를 영원히 꼭꼭 씹어먹을까?
내가 참으로 존경하는 지인으로부터 울리히벡의 위험사회라는 책을 선물 받고
책을 읽기 시작하였으나 갑자기 건강문제와 주위의 산만한 일상들 때문에 집중할 수가 없었다.
다행 이도 내가 가입되어있는 독서클럽 발제가 위험사회였으므로 한참 걸릴 시간의 독서량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집중하여 읽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었다.


첫 장을 읽을 때부터 거의 마지막 장까지 울리히벡의 위험사회는 조금은 협박적이고
목을 조르는 듯한 느낌을 받게 현대사회의 위험을 알린 책이라 생각을 한다,
인간은 자신이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의 위험은 항상 두려움으로 생각하고 인간의 심리를
통제할 수 없는 위험에 대해 울리히벡은 심각성을 주장하고 있다.


왜 현대는 이런 위험요소를 가지는 것일까?
현대의 일상성을 보면 인간생활의 편리성을 위해 아웃풋을 만들어내는데 그 잉여가치를
위해 가장 합리성과 합목적성을 가지려 하기 때문이다. 그 합리성을 위해 과학기술의
그 무엇을 동원해도 인간의 문명을 위해 자연의 재해나 생명의 존귀함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그런 문명의 발달이 인성을 피폐하게 하고 인간의 정의로움을
헌신짝처럼 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근대화라 칭하고 이러한 근대화의 성공은 새로운 위험을 수반한다,
울리히벡은 이러한 근대성의 문제점을 제시하는데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접근한다
울리히벡은 칸트의 명제를 빌려 이렇게 표현한다,


사회적 합리성 없는 과학적 합리성은 공허하고, 과학적 합리성 없는
사회적 합리성은 맹목적이다....


상당히 논리적이고 근거 있는 이야기다,
이로 인해 생기는 모든 폐해는 인간의 몫으로 남겨지기 때문이다.
여전히 자본주의는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그 창출된 요인으로 즉각적인 위험요소를
개발한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을 불안해 하지만 결국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과학기술의 노예로 전락하고 인간의 삶은 더 황폐화 되어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울리히벡은 이러한 사실을 주지시키고 인간중심의 세계를 찾고자 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즉 인간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진보만이 인간의 존엄을 수호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과학기술, 어찌 보면 편리함과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그 생성과 소멸 가운데 인간의 의지로
관여될 수 없다면 결코 행복 해질 수 없다는 그의 주장은 올바른 주장이 아닌가 싶다,


인문학 책은 볼수록 어렵지만 울리히벡 책 역시 만만치 않은 책이라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근대를 살아가는 아니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일독을 함으로
자신의 주체성에대한 그리고 문명에 대한 접근을 어찌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해볼 수 있는 개념의 책이라 생각을 한다,

 

다만 아쉬운 것이 있다면 20세기에 책이 발간되어 21세기를 거쳐가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조금은 오울드니쉬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여타의 문제를 제외한다 해도 핵에너지 기술 발전에 복속된 문제를 본다면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울리히벡의 위험사회를 5가지로 압축해본다면....


1. 현대의 위험은 방사성과같이 인간의 평상적 자각능력을 완전히 벗어난다.
2. 위험의 사회적 지위가 나타난다.
3. 위험의 확산과 산업화는 자본주의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 올린다,
4. 부는 소유할 수 있지만 위험으로부터는 그저 영향을 받을 수 있을 뿐이다.
5. 사회적으로 공인된 위험은 특수한 정치적 폭발력을 지닌다.


5가지로 압축을 하고 나니 아주 오래 전 살찐 장미의 위안이란 제목으로 블러그에 글을
써놓은 것이 생각났다. 아마 위험사회의 내용 압축일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내가 느꼈던 느낌대로 느낄지 모르겠다.
책이라는 게 읽는 이들의 감성에 따라 달라지니 말이다 .

 

 

그때 써놓은 글을 잠깐 발췌하면..


자정 넘겨 집으로 가는 길...
강으로부터 조금씩 배어 나오던 안개가 어느 틈에 길을 침범하기 시작하고,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지나치는 차들 때문에 막연한 공포를 느끼면서도
짐짓 모른 척 묵묵히 달리고 있는 차들 틈에서 바람에 실린 물결처럼
떠내려 가고 있는데, 흐느끼는 듯한 아리아의 가락이 라디오에서 마악 시작될 무렵,
영동대교 조금 못 미쳐 갑자기 엉켜져 있는 불빛들이 속력을 막아 선다.


사고가 났다.
세 대의 차 중 두 대는, 고무찰흙을 벽에 세차게 던졌을 때처럼
앞쪽이 뭉개져 있고, 사륜구동 차 한대는, 반듯하게 뒤집어져 있었다.
어떻게 알았는지 렉카차들이 수도 없이 몰려들고 뭉겨진 차 옆 흔적에
핏자국이 흥건하고 이미 환자를 실은 앰블런스는 떠나갔는지 무질서하지만
평온함의 평정을 찾고 있었다.


몇몇의 남자들이 서서 웅성거리고 있는 것이 보이고,
내가 그들 바로 옆을 비켜갈 즈음, 구석에 앉아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 쥐고 있는 남자가 눈에 들어오고 나는 순간 가슴이 철렁 한다.


또 다른 내 모습이 불현듯 떠올랐기 때문이다.
얼마 전까지 교통사고로 인해 재판장까지 서야 했던 그 기억들.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교통사고. 가해자와 피해자들의 엇갈린 희비.


가해자는 자기에게 닥쳐진 불행이라 말을 할 것이고.
피해자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 식으로 날벼락을 맞아 병원신세를
져야 하고 모든 활동이 중단되어야 하는 시련을 맞게 된다.


문명의 편안함이 가져다 주는 두 얼굴의 변화.
엑셀을 세게 밟으며 죽음으로부터, 아니 죽음에 근접한 사고의 공포로부터
나는 도망치기 시작했다.


올리히벡의 위험사회를 읽으며 포퍼(R.Popper) 반증주의를 처음 제시한
" 과학적 발견의 논리" 라는 책이 갑자기 생각이 났다.
아주 오래 걸려 읽지 않은 책이라 수박 겉 핧기가 되지 않을까 두려움이 있지만
그래도 책을 읽으면서 울리히벡의 천재성에 다시 한번 감탄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