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런 얘기를 하면서 조금 오해 있음을 풀어봤으면 좋겠다.

판잣집에 살던 어느 가족이 형편이 잘 풀려 50평짜리 아파트로 옮겼다.
딸은 처음엔 자기만의 방이 생겨서 기뻤지만 점차 혼자놀기에 질려서
딴엔 새롭고 짜릿한 놀이를 생각해냈다.


가면을 쓰고 베란다창만한 방 창문을 열고...
(유리창이 아니어서 닫아놓으면 바깥이 안 보이고 밖에서도 안을 못 들여다 보이는 원웨이 미러),
네글리제 차림으로 누워서는 천정을 향해 다리를 올린 채 벌렸다.


마침 맞은편 아파트 복도 창가에서 담배를 피우던 아저씨 몇이 우연히 보고 탄성을 질렀다.
어느새 맞은편 아파트는 디카와 망원경을 들고 바라보는 남자들로 가득했다.
뜨거운 반응에 전율과 쾌감을 느끼며 여자는 약올리듯 창을 닫았다.
몇 시간 후 인터넷엔 '가면의 쩍벌녀'가 뜨거운 감자로 올랐다.


그녀에 대해 사람들은 이런저런 추측을 내놓았다.
미녀다 추녀다, 전문직 여성이다, 프리랜서다, 백조다, 히키코모리다, 에로배우 홍보다,
노출광이다, 남자에 굶주렸다, 성해방론자다, 과격 페미니스트다,
사회불만 표출이다 등등. 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사항은 가면 뒤의 얼굴이었다.


우쭐해진 여자는 자신이 가면을 벗었음을 깜박 잊고,
맞은편 아파트의 남자들이 아직도 각자 방으로 들어가지 않고 창가에 매달려 있는지
궁금해서 창을 조금 열고 얼굴을 내밀었다. 순간 가면이 아닌 맨얼굴 상태임을 자각하고는
황급히 창을 닫았으나 이미 플래시가 터진 후였다.
얼굴이 공개됐으니 취직도 시집도 글렀고 주위 사람들 볼 낯도 없다고 자책했다.


꿈이라 비논리적인 부분이 보이는데 실제상황이라면 신고감이 아니였을까?
보려는 욕구와 보이려는 욕구, 드러내려는 욕구와 숨기려는 욕구,
어디까지 내보이고 어디까지 숨기느냐 하는 수위의 문제를 생각케 하는 얘기인 듯 싶다.


 

오늘 아침 후배한테 카톡이 날라왔다.

형... 글은 괜찮은데  너무 쓸쓸해 보인다는 말과 함께 보자고 한다.

내 궁색한 답변으로 변명 비슷한 이야기 하긴 했지만 조금은 오해가 있는 것은

아닐까 싶어서 글을 써본다.

 

하긴 오래전부터 이런 이야기는 자주 들어와서 특별히 신경 쓸 것도 아니지만

다른이들이 나를 그렇게 본다는 것은 분명 내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사실 그냥 글은 글일뿐, 내생활과 분명 차이가 있다. 

감성적인 부분에 공감을 얻기위해 쓰는 경우가 많아 그렇게 보일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는 아주 힘드는 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는 않다.


어쩌면 내 생활이 윤택하지 못하고 힘이든다면 침묵으로 일관하지 글로 떠벌리거나
글로 아픈 마음을 내색할 성격이 못된다. 물론 글안에 향취나 분위기가 전혀 나와
동떨어진다는건 아니다. 그 글안엔 분명 나의 모습이 투영되어있고 나의 이미지가 있다.
굳이 부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잘못 오해하여 힘없는 철부지로 느껴질까 걱정이된다.
아마도 나를 보여주는 수위조절에 실패를 한 것은 아닐까 뒤돌아보게 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황하는 한주일...  (0) 2013.08.22
사람의 대한 호불호...  (0) 2013.08.19
쉼...  (0) 2013.08.07
이별은 왜?...  (0) 2013.07.30
비그친 오후...  (0) 2013.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