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드보통의 소설 속에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우리는 사랑일까?” “너를 사랑한다는 건”

사랑과 인간관계 3부작 중 하나의 소설, “우리는 사랑일까 ”의 화자는 여자이며 앨리스와 에릭의 사랑이야기라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의 화자는 남자이며 나와 클로이의 사랑이야기이다. 


서로 다른 인물들이 펼쳐 나가는 사랑의 드라마이지만 시작과 전개는 대단히 흡사하다 아마도 모든 남녀의

운우지정.,. 사랑의 이야기는 이렇게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ㅋㅋ 그러나 각자 주인공들이 느끼는 감성과 감정들..

앨리스가 느끼는 사랑의 감정과 클로이를 사랑하는 나와는 참 많이 다름을 느낀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점을 느낀다고 나 할까? 내가 여자가 아니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심리학적으로 여자가 이별을 하면 그 사랑이 정말 사랑이 아니었구나 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잊어버리고

다른 사랑을 찾는 반면, 남자가 이별을 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그 사랑을 잊지 못하는 미련을

곰탱이처럼 부리는 차이가 바로 여자와 남자의 관점과 생각의 차이가 아닌가싶기도 하다. 


알랭드보통 철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주 섬세한 사랑의 감성을 사유와 담론의 장으로 이끌고 있다는 점은

독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끌 만한 책이 아닌가 싶다..이 책을 보면서 지독한 사랑을 해봤거나

혹은 사랑을 해보지 않았더라도 24가지의 이야기 속에 깊이 있는 드라마가 존재한다는 것.

책을 읽으면서 나의 사랑과의 차이는 뭘 까? 비교가 되는 의미를 주는 책이다. 

 


사랑에 빠지는 순간부터 사랑이 끝나고 좌절하고 극복하는 과정 끝나버린 사랑의 상처를 지우고

새로운 사랑에 빠지는 일련의 과정들은 사유적인 관점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대단히 흥미로운 것은 이런 사랑의 진행 과정을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철학적 이론과 연관시켜

이야기를 풀어간다는 있다는 점이 새롭다..


연애와 철학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합인데 알랭드보통은 신선하게도 연애와 철학의

둘을 잘 엮어 이야기를 풀어 간다는 것이다. 주인공인 나와 클로이의 만남.. 흔히들 로망으로 생각하는

비행기안의 조우.. 그리고 운명적으로 빠져버리는 사랑..

 

다른 연인과 크게 다르지 않는 사소한 싸움과 화해의 반복..

서로에게 익숙해져 가는 과정.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의 노래처럼 클로이와 주인공 친구인 윌과의 새로운 만남.

그리고 헤어짐.. 너무도 통속적인 사랑이야기 속에 페이소스와 사랑의 가치를 조금 더 성숙하고

가치 있게 표현해 내는 알랭드보통의 글의 구성은 마음의 짠함을 느끼게 만든다.


사랑이 끝나고 좌절과 우울의 나날. 자살 시도

(나는 과연 실연으로 인해 자살을 시도할 수 있을까 갚은 고민?)

그리고 다시금 회생하는 과정.. 그리고 디너파티에서 만나는 새로운 운명 레이첼과의 만남.. 
일인칭으로 시작되는 이 소설은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과 소재 그간의 통속적 소설의 구성과는

조금은 다른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것이어서 흥미롭게 다가오는 책이다. 


연애의 심리변화를 작가의 일인칭 해설로 자세히 이야기 한다는 것.. 마치 연애 편지나 일기장을 훔쳐보는

관음증 같은 느낌으로 읽게 되는데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이라는 게 대체적으로 극적인 드라마 적

감정의 소비를 담은 일상의 이야기를 담는 것이라면 이 책은 남녀 간의 사랑과 인간관계를 주제로 다루고 있지만

알랭드보통만의 특유의 철학적 사변과 성찰을 통해 읽는 이들에게 좀 더 인문학 적인 깊이와 섬세함이 깃든

소설이 아닌가 싶다.


아주 읽을 만한 책이고, 더구나 25살의 청년이 썼다는 게 아주 놀랄 만한 일이 아닌가 싶다. 난 25살 때 뭐했나??

군대에서 뺑 이치고 복학을 할 때였나? ㅋㅋ 낭만적 운명론에서 사랑의 교훈이라는 24가지의 담론.
사랑을 할 때는 순수해지고 이별의 아픔을 치유하면서 성숙의 발전을 가져온다면 우리는 사랑에 상처 때문에

사랑에 겁먹고 주저할 필요는 없는 것은 아닐까 싶다. 사랑이라는 정의는 각 개인의 사유를 통해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으나 통찰과 깨달음이 생기고 일상을 해석 할 수 있다면 멋진 일이 아닐까 싶다.

 


오늘의 담론..

  1. 내게 사랑이 찾아 온다면 어떻게 그 사랑을 받아 드릴 것인가?
  2. 정말 사랑은 운명론적으로 다가오는 것일까?
  3. 사랑은 본질적으로 보답 받을 수 없는 마르크스적 감정이라고 하는데 즉 목표를 성찰(섹스를 통한 합일이건 어떤 식이건) 사랑하는 사람을
  4. 소유하면 소진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
  5. 상호간의 사랑은 진정 불가능한 것이고 욕망만이 존재하는 것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