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곳적 여와가 무너진 하늘을 고친 이야기를 중심으로,

불의 신 축융과 물의 신 공공의 싸움에서 화석연료(火)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물질문명과 어머니,

자연의 자정을 상징하는 환경주의(水)의 대립을 도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전부터 품어왔다.

 

그러던 차에 딱히 이야기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아, 위앤커의『중국신화전설』을 붙잡게 되었다.

정작 확인하려는 내용은 극히 짧았으되, 이 참에 중국신화에 대한 총정리의 기회로 삼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해서 천 페이지에 가까운 지루한 정독하였다.


1권은 상고시대부터 주나라의 탄생에 이르는 선사시대의 신화를 다루고 있으며,

2권은 주나라 이후부터 시황제가 전국을 통일한 시기까지 역사시대의 전설을 담고 있다.

1권의 이야기는 저자의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분히 난삽하였는데,

이를테면 축융과 공공의 싸움에서 축융이 전욱으로 대치되는 점이나,

요임금의 사위라는 순임금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진 제준이 요임금 이전에 벌써 등장하는 점, 등이 그러하다.

 

구전 되는 대륙 각지의 신화를 집대성하는 과정에서 각기 다른 신화들의 내용을

자신의 일정한 틀에 맞춰 재단해 버릴 수 없었던 연구자의 고심을 추측해본다.

 

2권의 내용은 그야말로 ‘전설 따라 삼천리’인데, 오자서, 공자, 시황제와 같이

실재 역사상의 인물에 관한 야사가 대부분이다. 대게는 황당무계한 것들로,

‘괴력난신을 말씀하지 않으셨다 (不言怪力神) 『語』’ 는 공자님까지 발차기로

호랑이를 때려잡는 역사士로 묘사하고 있으니, 실로 아이러니라 하겠다.

각 시대의 영웅이나 큰 스승의 위대함을 민초들 나름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결과이다.


희랍신화, 히브리신화, 인도신화와 비견 할 수 있을만한,

체계적이고 드라마틱한 우리만의 상고신화라고 할 만한 것이 딱히 없거나 몹시 빈약하다.

그런 까닭에『한단고기』같은 위서(僞書)로 위안거리를 삼고 있는 현상도 안타깝다.

생각해보면, 중국의 신화 속에는 인접, 혹은 같은 문화권 내에 있었던 우리의 신화적

상상력도 분명 혼재되어 있을 것인데, 이를 그저 남의 것이라고 치부할 수만은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