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길을 걷다가 풀숲에 파닥거리는 햇살이 투명해진 것을  발견하게 될 때면
가을이 왔음을 느끼게 되곤 한다. 단조로운 녹색의 풍경이 오색의 단풍으로
물드는 그 변형의 진리는 언제나처럼 시간과 함께 조각되어 가는 인간의 삶을
새삼 깊이 생각하게 해준다.


여름철의 뜨거운 태양보다는 설핏한 햇살이, 그리고 무성하고 우거진 푸른숲보다
단풍져 낙엽이 지는 나무숲이, 또 무더운 바람보다는 오스스 옷깃에 스미는 가을바람이
불어올 때 인간은 까맣게 잊었던 스스로의 내적인 세계를 뒤돌아 보게 된다.


그만큼 사람의 눈에 보이지않는 정신의 세계와 마음의 세계...
오색에 물드는 단풍의 매력을 지닌 멋과 아름다움을 갖추려면 자주 마음의 거울을
드려다보고, 그 거울에 뿌옇게 먼지가 끼었을때에는 말끔히 닦아내는 정성을 쏟아야한다


세종대왕님의 한글 창제 뜻을 기리는 하루...
내 마음에 가득찬 얼룩진 까만 점들을 씻어내고자 대장경 세계문화축전의

특별행사로 경남 합천 해인사에서 주최한 해인 아트 프로젝트라는 미술전을 관람하고

자연의 성스런 풍광에 감사하는 하루를 지냈다.

당일로 다녀오는 수고스러움은 컨디션 저하의 무리감을 주긴 했지만 마음만은 명징한 상태.


해인아트 프로젝트에 출품한 40여점의 미술품들..
저마다의 고도 대중사회를 사는 인간들의 행동 가치관에 경종을 주고자하는
현재 중심주의, 기술 문명  지향주의적인 다양성을 배제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천년고도의 사찰에서  전시를 하는 만큼...
인간 본연의 업를 통해 불교적 색채를 띤 작품들이 많았던 것 같다.
새로운 인간형, 새로운 인간 행동의 가치관, 새로운 사회구조, 오락적 정서 보다는
순수하고 투명한 자유를 강조하려 했던 작품들이 눈에 띄였던 것 같다.


정신의 고향을 찾은 것 같은 느낌을 사로잡는 작품들이 너무도 많았던 전시회.
욕심도 거짓도 없고 고요속에 환상의 나래를 펼쳐가는 사색의 장원으로 내자신을
함몰시켜 갈 수 있었던 매혹적인 시간이였던 것 같다.


허식으로 차 있는 인간의 얼굴, 욕심으로 차 있는 인간의 얼굴,
비열로 차 있는 인간의 얼굴, 생존을 위해 갖게 되는 그 고통스러운 시간들 앞에
허해지는 내 마음을 잠시나마 구해주는 완벽한 자유시간이 아니였나 생각해보며
꺼져가려는 내 두뇌의 불꽃을 바라보며 내 스스로를 지켜보려는 갸냘픈 저항의
힘을 조금이라도 준 시간이 아니였나해서 기쁨으로 전시회를 잘 다녀왔다는 생각을 해본다.

 

 

내가 촬영한 작품들...(작품 해석은 홈피에서 발췌)

 

1. 천경우의 <고통의 무게>

 

생은 고통이다.

작가는 내적 고통이라는 개념에 주목, 인간 내면의 마음 상태를 돌이라는

물질로 치환.. 보자기에 담겨있는 돌은 자기 고통, 번뇌만큼을 포장 

 

 

2.임옥상의 < 허허 미륵 >

 

12미터에 이르는 비단 천 210장 위에 화엄경을 필사하고 그 천들을 천장에 설치한다.

임옥상은 관람객들을 천 사이로 고요히 거닐게 하는데,

이런 행위 속에서 부처님의 뜻을 깨닫고 성불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작업으로 나타내고 있다.

 

 

3, 쉬바차치  <수맥 탐사자 The Water Diviner>

 

과거의 깨끗했던 환경에서 현재 수질오염의 심각성까지 환경문제에

얽힌 개념들을 사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4, 이이남  <자연-인간-순환, 산장고일도 >

 

“일상에 지친 사람은 나름의 유토피아를 꿈꾼다.”
계절의 변화를 담는 등 친근한 이미지 위에 시간의 흐름이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시간을 담고 있는 그의 작품 앞에서 사람들은 오래 서서 생각에 잠기고,

마음을 돌아보는 여유를 갖게 된다

 

 

5, 렁 미핑, <미래를 기억하다 2013 Memorize the Future 2013>,

 

“외적 영혼을 보존하는 매개체로서의 어린아이 신발”

불교에서 머리를 깎는 것은 스님 성직 서임에서 거쳐야 할 과정으로

이 것은무아(無我)로 이르는 영혼의 길과 외적인 희생을 상징한다

 

 

6, 리나칼라트  <날씨의 변화는 세계와 우리를 바꾸기에 충분하다>

 

“너무나 평범한 일상적인 요소인 날씨 같은 요소를 관료주의적 도장에 넣음으로

무언가를 증명하는 것 같다. 증명일까 아니면 미래에 대한 위트있는 예언일까?”
작업을 통해 작가는 사람이 사는 사회가 관료주의적 조직체로 운영되고 있지만

초자연적인 힘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더 자세한 작품을 소개받으려면 해인아트 프로젝트 사이트를 들어가보라

http://www.haeinart.org/index2.php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복되는 삽질...  (0) 2013.10.25
조카 결혼식..  (0) 2013.10.21
무식한 걷기..  (0) 2013.10.07
라이프 사진전을 다녀와서..  (0) 2013.10.04
마음에 담아 둘 사람...  (0) 2013.10.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