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꼭 연애편지를 닮은것 같다.
꽃 스스로는 움직이지를 못하니 나비와 벌, 혹은 바람의 몸을 빌려
자신의 사랑을 전하는 것처럼...
멀리있는 누군가를 그리워하며 편지를 통해 사랑을 주고 받는 게
꽃의 운명과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중에서도 유독 멀쑥하게 목말라하는 꽃이 해바라기이다.
누군가를 사모하고 애타게 그리는 인생을 해바라기 같은 인생이라 말하지 않던가?
내가 그렇게 살았던 것 같다.. 오직 하나만 바라보면서..
이 꽃을 보고 있노라면 갈망의 차이, 염원의 차이가
한 존재의 운명을 얼마나 크게 빚어 내는지 처절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해바라기는 워낙 태양만 생각하고 그곳으로만 고개를 돌리다보니
꽃모양마저도 자신이 사모하는 것을 닮아버리고만다.
해바라기의 바깥 둘레를 이루는 노란 혀처럼 생긴 꽃잎은
사실 별로 쓸모없는 장식용이다. 그 꽃잎안에 있는 작은 천개의
꽃잎이 암술과 수술을 가진 진짜이다.
하지만..
노란 설상화는 햇빛을 사모하는 마음을 형상으로 드러낸 해바라기의 빛둘레이다
사랑하는 것과 닮아버림으로써 스스로의 몸속에 그리운 대상을 품는,
해바라기의 사랑법ㅡ 늘 신기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도는 건 어릴때 뿐이라는 걸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해바라기도 성장하여 어느정도 키를 키우면 지향했던 향일을 거둔다는 것..
자신을 만들고 키워준 햇살의 젖줄을 떼는 해바라기.. 그 홀로서기에는 얼마나 많은
번뇌와 고민이 있을까 생각하니.. 우리네 인생을 바라보는 것 과 같다는 생각이든다.
살아간다는 건...
바로 성장한 해바라기가 자기가 사랑했던 태양과 헤어지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아마도 살아간다는 것은 헤어짐을 익숙히 받아드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익숙한 어미의 자궁에서 벗어나 바깥 공기를 접하여 울음을 터트리는 일에서
시작된 살아간다는 것은 결국 무수한 이별과 새로운 만남을 연속하다
마침내는 익숙해질대로 익숙해진 이 세상과 헤어지는 것으로 마무리 되기 마련이다.
이렇게 헤어짐이 연속되지만,
이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이 가장 익숙해지기 힘든 것이 헤어짐이기도 하다.
헤어진다는 것, 또는 버림받는다는 것,
그 아련한 가슴아픈 추억은 언제나 슬픔으로 기억되기 마련이니까.
그래서 인간의 기억력이라는 것은 언제나 양면적이 아닌가싶다.
좋은 기억이야 힘이 되지만, 슬프고 아픔 기억은 언제나 스스로를
약하게 만들뿐이니까. 그래서 점점 사람들에게 다가간다는 것..
예전처럼 한발 먼저 다가가 '안녕', 그 한마디를 던지기가
두려워지는 까닭은 바로 헤어짐을 알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그건...
절대 " 싫어해서가" 아니고.
절대 " 지겨워서가" 아니고
해바라기와 같이 성장함으로 홀로서기에 익숙해져 버리기 때문일 것인데..
하지만, 내게는 너무 두려운것이되어버렸다.
이렇게 계속 상처만 받다가는 내 마음이라는게 남아나질 않을테니깐.
거울 속의 내 모습이 참 초라해보인다. 아니, 안쓰럽다.
오늘도 또 마음 속 상처를 입고 나와 인연이 되지않은 이들을 내곁에서
멀리 떠나 보내려 한다. 잘살아라..~~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마음을 얻어낸다는 것.. (0) | 2014.03.10 |
---|---|
컨디션 꽝... (0) | 2014.02.24 |
신년 여행.. (0) | 2014.02.06 |
무엇이나 깨끗한 것은 상쾌한 기분을 안겨준다 (0) | 2014.01.25 |
고립된 남자.. (0) | 201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