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곳적 여와가 무너진 하늘을 고친 이야기를 중심으로,

불의 신 축융과 물의 신 공공의 싸움에서 화석연료(火)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물질문명과 어머니,

자연의 자정을 상징하는 환경주의(水)의 대립을 도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전부터 품어왔다.

 

그러던 차에 딱히 이야기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아, 위앤커의『중국신화전설』을 붙잡게 되었다.

정작 확인하려는 내용은 극히 짧았으되, 이 참에 중국신화에 대한 총정리의 기회로 삼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해서 천 페이지에 가까운 지루한 정독하였다.


1권은 상고시대부터 주나라의 탄생에 이르는 선사시대의 신화를 다루고 있으며,

2권은 주나라 이후부터 시황제가 전국을 통일한 시기까지 역사시대의 전설을 담고 있다.

1권의 이야기는 저자의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분히 난삽하였는데,

이를테면 축융과 공공의 싸움에서 축융이 전욱으로 대치되는 점이나,

요임금의 사위라는 순임금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진 제준이 요임금 이전에 벌써 등장하는 점, 등이 그러하다.

 

구전 되는 대륙 각지의 신화를 집대성하는 과정에서 각기 다른 신화들의 내용을

자신의 일정한 틀에 맞춰 재단해 버릴 수 없었던 연구자의 고심을 추측해본다.

 

2권의 내용은 그야말로 ‘전설 따라 삼천리’인데, 오자서, 공자, 시황제와 같이

실재 역사상의 인물에 관한 야사가 대부분이다. 대게는 황당무계한 것들로,

‘괴력난신을 말씀하지 않으셨다 (不言怪力神) 『語』’ 는 공자님까지 발차기로

호랑이를 때려잡는 역사士로 묘사하고 있으니, 실로 아이러니라 하겠다.

각 시대의 영웅이나 큰 스승의 위대함을 민초들 나름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결과이다.


희랍신화, 히브리신화, 인도신화와 비견 할 수 있을만한,

체계적이고 드라마틱한 우리만의 상고신화라고 할 만한 것이 딱히 없거나 몹시 빈약하다.

그런 까닭에『한단고기』같은 위서(僞書)로 위안거리를 삼고 있는 현상도 안타깝다.

생각해보면, 중국의 신화 속에는 인접, 혹은 같은 문화권 내에 있었던 우리의 신화적

상상력도 분명 혼재되어 있을 것인데, 이를 그저 남의 것이라고 치부할 수만은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오늘은 대통령 선거일이다.

투표를 마치고 들어오니 사무실에나가 내일 있을 프로젝트땜에

일을 해야 하는데 춥고 귀찮고 괜하게 컨디션까지 떨어진다,

 

회사에 전화를 해보니 마무리 일을 하고있는 직원하나

나오지않아도 금방 마칠일이라 하니 잘됐다싶어 잠을 청했는데

자다 금방깨고 말았다,, 다시 잠이들려면 머릿골아픈 책을 선택하여

읽어내는게 가장 좋은 수면제이기도 하다,

 

존쿳시의 야만인을 기다리며 라는 책이  대통령 선거날에 딱맞는 책일 듯..

위정자에게있어 가장 손쉬운 통치 도구는 공포이다. 개인에게 국가가

사회계약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은 재산과 안위에 대한 보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부의 적이든, 내부의 적이든, 그것이 없다면 수고스럽더라도,
공포의 제왕을 손수 만들어내야만 한다. 그렇게 발명된 공포는 대중을 타락시키고,

마키아벨리의 말처럼, 타락한 대중에게 정의를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작품의 결말부에서 제국의 일부,
소제국으로서의 요새는 자기 방어를 포기한 상태로 야만인들을 기다린다.
분노에 찬 야만인이 그들에게 복수를 할 것인지 혹은 자비를 베풀지 알 수 없는 일이지만,

어쩌면 더욱 잔인한 야만인인 제국의 병사들이 떠난 요새는 가난하고 불안하지만 평화롭기까지하다.

 

소설을 읽는 내내 시종, 빨갱이 야만족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준다는
현실 제국의 병사들도 이제는 저희 집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금잔디 사이 할미꽃도 피었고,
삐이 삐이 배, 뱃종! 뱃종! 멧새들도 우는데,
봄볕 포근한 무덤에 주검들이 누웠네.


―박두진의 [묘지송](墓地頌, 1939)에서


지난 금요일 비보를 전해 들었다.
친구의 죽음을 전해 듣는 나의 귓바퀴는 멍해져 안개가 낀다.
별리와 상실을 가능하게 만드는, 가장 끄트머리는 죽음이다.


오늘 독침 같은 찬 기운을 둘러맨 비가 쏟아지는 날
영결식을 가졌다. 천수를 다하지 못한 작은 인생 하나
깊은 한숨과 눈물 속에 숨어있던 추억들이 떠오른다.


지난 수십 년간 우정을 지녔던 친구의 죽음..
내 삶의 추억 속 정겨움 안에 늘 그 친구가 존재하고 버티고 있는데
정겨움이 한 번 비틀리고 틈새가 벌어지니 말할 수 없는 고통이 수반된다.


정겨움은 지독한 고통을 안겨줄 독(毒)을 내포하고 있다는 걸
친구의 죽음을 통해 느낀다. 어쩌면 별리(別離) 또는 상실(喪失)일지도 모른다.
증오와 질투는 삭혀질 수 있지만, 별리와 상실은 치유되지 않는 상처임에 분명하다.


결국 삶이란, 편안히 누울 한 자리를 얻는 것일까?
박두진 시인의 묘지 송의 무덤은 왠지 밝기만 하다.


살아서 설던 주검’ 죽어 편안한 거처를 마련하였으니,
어찌 환한 삶이 아니랴마는...
이리저리 부대끼며 팍팍하고 고단한 삶을 살고서야
한 뼘만큼의 편안함을 얻는 것이라면,
편안한 공간을 살아서는 지닐 수 없는 것일까?


이제부터 11월의 가을은 기다림과 그리움으로 시작이 될 것 같다,
기다림에 더께가 앉으면 그리움이 되어 가슴 한가운데를 커다랗게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움이라는 것은 질기기 이를 데 없어, 시간이 흘러도 좀처럼 물러서질 않을 것이기에
친구의 죽음 앞에 친구를 향한 나의 그리움을 전할 작은 우편함 하나를 갖게 될 것이다.


기다림 또한 출렁이는 물결이요, 일렁이는 바람결이 되어.
새 소리가 유난히 맑은 가을날이면 왠지 그 친구와의 추억이 생각나
아픔의 상흔을 어떻게 붙잡을지 벌써부터 가슴이 저며온다.
하늘 나라 그 어딘가에서 잘살기를 바라며 친구의 명복을 진심으로 빌어본다.


갑자기 뜨거운 커피 한잔을 마시고 싶어진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지만 가까운 사람들...  (0) 2013.02.12
정리를 한다는 것...  (0) 2013.02.05
가을 독백..  (0) 2012.11.13
노심초사하는 삶이란?  (0) 2012.10.18
삶의 담론..  (0) 2012.09.18

 

 

은행잎과 단풍이 한창일 때 역광에 서면 나뭇잎을 햇살이 투과해 황홀한 빛이된다.

그 샛노란 빛 속에 서면 세상 모두가 찬란한 환상에 빠져들거 같아 넋이 빠질것 같다.
11월의 만추.. 마음 텅빈 자리는 가을 하늘을 배경으로 얼굴 없는 바람이 차지하고
베어져 난도질 당해 눕혀진 자존심은 아프고 쓸쓸하다.

 

하오의 햇살을 받으며 팔랑팔랑 춤추던 황홀한 빛,아름드리나무가 높이 치솟아 있고,
무성한 잎은 더러 떨어져 마치 병아리 무리가 널따란 원을 그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눈부신 빛의 터널을 지나는 느낌을 받아 그런것인지 따뜻한 온기가 전해오는 것 만 같다.

 

잠시 방금 지나 온 환상의 세계는 무엇인가?
그리고는, 그 빛의 중심에서 멍하니 넋이 빠져 버린다.
발밑엔 수북이 쌓인 낙엽은 나무가 토해낸,

 한 해 내내 내뱉지 못한 이야기를 밟고 있는 듯 하다.

 

나무에 단풍이 드는 것은 해마다 한번씩,
자기 속내를 드러내고 자기 말을 하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계절과 태양이, 그리고 거기 있는 나와 또다른 인연이 소슬한 가을바람을 타고
내려오며 춤추며  낙엽에게 몸짓으로 전하는 말.

 

‘드디어 우리가 여기서 만났네’ ... 그러는 것 같다.

 

나는 보는 것이 아니고 듣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져 버린다.
자연을 보면서, 보기만 하는 게 아니라 듣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된 순간이다.
그림을 볼 때도 듣는 느낌을 받기도하고,
글을 읽을 때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듣는 것 같기도하다.
음악을 들을 때, 음악도 볼 수 있다는 것도 최근에 알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러면서 나는 나를 해부하려는 마음이 일기 시작한다,
그리고 내가 다 찾아내지 못한 나를 찾아내려는 순간
무슨 인연인지 몰라도 나를 바라보는 눈 하나 더 갖게 되었다.

 

내 인생에 감사를 드려야 하는 것일까?
어쩌면 그 눈을 쫓아 방황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살아온 기적만큼이나 살아갈 기적을 그 인연으로부터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아니 덤덤하게 받아드리고 싶다,

 

내일생...
냉혹하게 현실을 재단해보면 가을과 같은 시기가 아닐까?
기억을 정리하여 갈무리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에 더욱 소중하다,

지금  내 인생의 가을을 정중하게 맞이하고픈 마음이 드는건
어깨위에 올라탔던 지난한 삶의 궤적을 편안한 쉼터로 바꾸고 싶다는
작은 염원이 들어서일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어쩌면 이 가을 길에서, 길을 잃고 싶다는 생각이든다.
깊이  아주 깊이 가을 속으로 들어가고 싶어지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 마음속에 영원히 길을 잃어버리고 싶듯이, 그렇게...
흐트러진 것을 온전히 하고프다는 생각이 들어서일게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를 한다는 것...  (0) 2013.02.05
친구의 죽음앞에서..  (0) 2012.11.15
노심초사하는 삶이란?  (0) 2012.10.18
삶의 담론..  (0) 2012.09.18
사그러지지않을 상흔...  (0) 2012.07.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