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를 한다는 것은 언제나 스트레스다.
일정이나 생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지 않고 되는대로 하루 일을
해나간다는 것은 솔직히 꽤나 신경쓰이는 일이다.


하지만 여러가지 상황을 바로 정리하는 것이 더 스트레스를 가져오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일정이나 바로 떠오르는 생각 따위에 상관없이 일을 해나가고 있다.
아직까지는...


일정도 일정이지만 책상이며 서류며 책이며... 정리라는 것은 정말 어렵다.
<정리의 기술>이라는 책도 있었는데 그 책의 부제가 자그마치
" 하루를 48시간으로 사는..." 이었고 책 띠지에는 우리가 인생의 대부분을
무언가 찾는 데 허비한다라는 경고도 씌어 있었다.


생각 끝에 내린 결론..
그래도 정리는 정리로서 꼭 해야 할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정리를 한다는 것은 바로 생활의 규칙이고 삶을 심플하게 만들어주는
요소이고 상황을 똑바로 인식시켜주는 중요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문명의 이기가 잘 발달되어있는 첨단의 시대에서는..
정리를 하기위해 내가 알지 못하는 그 무엇도 검색엔진이라는 훌륭한 도구가있어
대부분을 안전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찾아주고 있어 특히 나처럼 예민한 사람은
사색 아닌 검색만 하면서도 시간을 죽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무엇을 위한 검색인가 하고 묻기에는 어색할 뿐이다.
나뿐만 아니라 모두가 그러고 있잖아, 라고 하기엔 꽤나 위험성이 있기도하다.
그래서 뭔가 떠오르면 바로 써야 한다. 적어도 그날을 넘기지 않아야 좋다는 결론이다.
그냥 머리 속에 넣어놓고 하루 이틀 흘려보낼수록 똥이 되버려서 결국에는
쓰나마나한 상황까지 가버리는 것 같다.


블러그에 글을 쓰는 것 역시 마찮가지다
그래도 하루 일과를 생활하다보면 이건 글로 남겨야 할 에피소드라 생각을 하고
글을 쓰려하지만 생활의 틈으로 인해 시간을 넘기게되면 결국 그 에피소드는 똥이되고만다.
똥이되는 정리가 바로 스트레스가 아닌가 생각이 되어진다.


그래서 정리라는 것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정리한것을
찾지 못해 시간을 허비하고 있을때가 많다. 어쩌면 이건 머리의 문제가 아닌가 싶기도하고.
그러다보니 블러그에 쓰는 글은 되도록이면 나의 마음을 전하는 것의 정리이고싶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렌타인 데이 소고..  (0) 2013.02.14
멀지만 가까운 사람들...  (0) 2013.02.12
친구의 죽음앞에서..  (0) 2012.11.15
가을 독백..  (0) 2012.11.13
노심초사하는 삶이란?  (0) 2012.10.18

 

‘조직론으로 본 한국 기업의 본질적 위기와 그 해법’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전작인『88만원세대』의 뒤를 잇는 한국경제 대안 시리즈의 제 2권이다.

 
전편이 정확히 내 삶의 현지점을 논하고 있는 반면,
기업 조직의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이 쉽게 읽히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생경한 경제학 이론들이 곳곳에 포진하고 있는 것도 원활한 독서를 막는 이유이기도 했다.
물론 쉽게 쓰려는 저자의 노력이 있었으니, 그나마 완독할 수 있었으리라.


이 책에서 얻은 정보들과는 별도로, 저자가 전편에서부터 말하는 바와 같이,
혁명의 가능성을 배제하고도 이 땅의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혁명에 대한 상상력이 소멸되는 것은 - 그것이 현실성이 없다는 이유로 -
그 자체로 희망 없는 비극이다. ‘혁명은 민주주의를 부르지만,
배고파서 벌어지는 폭동은 파시즘을 부르게 된다.(p.278)’라는 말 또한 일면 타당한 듯하지만,

배고파서 벌어지는(그것이 캐비어를 먹기 위한 것일지라도) 폭동과 공모하지 않은

혁명이 과연 역사상 존재했는가 하는 의문은 피할 수 없다.


이 책은 ‘조직론은 어렵다’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어떤 조직 모델이 더 건강한 것인지에 대해 저자 역시 확답을 피하고 있다.
그나마 마지막 4장(한국기업에게 던지는 조직론의 질문 5가지) 정도에서 희미하게

저자의 의견을 읽을 수 있었다.


현재의 마초 조직을 극복하고 20대와 여성들과 함께 일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는 것(88만원 세대),
영어만 잘하는 획일적인 귀공자들만을 모이는 현재의 인재선발 구조로는
포스트 포디즘(다품종 소량생산) 시대에 적합한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인재를 뽑기 어렵다는 것,
지역과 기업이 공생하는 관계로 나아가야한다는 것,
노동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볼보주의를 고려해야한다는 것이 그러하다.
이 한권의 책을 모두 읽기 어렵다면, 4장만 보아도 내용의 거개는 파악할 수 있을 듯 하다.


내게 사회를 보는 안목을 넓혀준 독서였지만,
현재의 나로선, 내 안의 마초를 극복해야겠다는 교훈 정도가 유익하다. 실로 어려운 일이다.
 
 
 
 

 


Les.Miserables-1 / club cafe 시네마랜드 by leebk38

 

 


Les.Miserables-2 / club cafe saymovie by leebk38

 

 


Les.Miserables-3 / club cafe 시네마랜드 by leebk38

출처 : STBM
글쓴이 : 두부장수종치네 원글보기
메모 :

 

  

꿈,행복, 신화, 섹스, 두려움, 무관심, 그리움, 애정결핍증후군등이 

내 이야기의  아나로그적인 물감들이다.

그중에도 내가 가장 즐겨 쓰는 물감은  애정결핍 증후군에 대한 이야기이다.  

 

남녀가 만나는 일은 언제나 즐겁고, 짜릿하다. 
내가 남녀 상렬지사에 대해 나름의 카타르시스를 안고
글을 쓰는이유는 단절의 고립성을 극복하려 하는것 때문이다,

 

고정관념이나 잘 길들여진 통념을 깨뜨리는 충격적 쾌감도 한몫을 하는거 같다, 
섹스 또한 변용의 미학으로 본디의 것을 전혀 새로운 모습의
관계로 바꾸어 놓음으로 본디의 것에서는 체험할 수 없는
새로움을 맛보게 하는 충격적 요법일 수 있어  내가 생각하는
관념에서의 일탈로 참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 지구를 살면서 승리감을 느끼는 순간은, 
타인들이 우러러 보는 위대한 일을 하는것도,,
내 자신의 일을 잘하여 타인과 내 자신의 뿌듯함도 아닌... 

 

          -  중 략 - 

 

 나의 새로운 디지털 물감은 어떤 모습으로 찾아 올까?    

 

   

 이곳은 개인의 사생활이 담겨져 있어요.

전체 글을 보시려면 친구 통하기를 해주세요.

친구 통하기를 하시고 좋은인연이 되어지길 바랍니다.

 

친구 통하기는 블러그 두부장수종치네 사진 밑

두부장수종치네를 클릭하시면 친구통하기를

신청하실수 있습니다. 번거롭게 하여 죄송합니다.

 

 

+ Recent posts